[조회수 : 2750]

정선아리랑 부르며 불사이군의 충절지켜 

 

“눈이 오려나. 비가 오려나. 억수장마지려나. 만수산(萬壽山) 검은 구름이 막 모여든다.”

민족의 애환이 서린 정선아리랑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이 아리랑의 원작자가 누구인지 아는 사람은 드물다. 이 노랫 말을 지은 이는 정선전씨(旌善全氏) 도시조의 29세 손인 고려 말 충신 채미헌(採薇軒) 전오륜(全五倫)이다. 그는 고려말 공양왕 때 대제학에까지 오른 당대의 명신이었다.

고려가 망하자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키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관향인 정선으로 낙향 서운산 기슭에 은거하여 만수산 검은 구름(이성계 일파의 음모)이 엄습해 오는 서울 송경(松京)을 바라보며 망국의 울분을 아리랑의 가락에 실어 보냈다.

이처럼 정선아리랑은 전(全)씨 문중의 충절의 애환이 서린 노랫가락인데, 전태도(68세) 울진군종친회장은 이 충의(忠義)의 정신이 시조로부터 흘러 내려 온 2천년 전(全)씨 가문의 전통정신이라는 것이다.

전(全)씨의 도시조는 백제 개국공신 환성군(歡城君, 현재의 서울) 전섭(全聶). 고구려 동명왕의 셋째 아들 온조가 부여에 도읍을 정하고 백제를 건국할 때, 오간(烏干), 을음(乙音) 등과 함께 온조를 도운 개국공신 10명 중의 한사람이다.

그의 묘소는 현재의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에 있으며, 매년 양력 10월 3일 전국 종친들이 모여 제향을 올리고 있는 데, 울진종친회에서는 지난해 버스 두 대를 전세 내어 80여명이 다녀왔다 한다.

 

 시조(始祖) 환성군(歡城君) 휘(諱) 섭(聶) 단소 전경(全景)
백제의 시조 온조왕 때에 백제국을 개창한 십제공신 중의 한분으로 환성군에 봉해졌고 연대는 한성제 홍가 3년으로 기원전 18년이다.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산15-1

도시조 전섭(全聶) 이후 한반도가 삼국통일의 전란기를 맞으며, 그의 가문에 대한 기록은 7세까지 끊어졌다가 정선전씨의 관조가 된 시조의 8세 손 전선(全愃)에 이르러 부흥된다.

그는 신라 성덕왕 22년 당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며, 천년신라의 독창적인 문물을 꽃 피울 문화적 기초를 마련한 인물로 벼슬이 전법판서(典法判書)에 올랐으며, 후에 정선군(旌善君)에 봉해져, 그의 후손들이 정선을 본관으로 삼으니 자손이 번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국의 후손들은 매년 음력 구월 보름 날에 정선에 있는 그의 묘소를 찾아 참배를 하고 있는데, 울진에서도 매년 40여명의 후손들이 버스 한 대로 다녀오고 있다.

정선군(旌善君)의 후대에 와서 정선과 천안 등 18개 문파로 갈라지지만, 천안의 관조 전락(全樂)도 시조 전섭(全聶)의 16세 손으로 전(全)씨 모두는 환성군(歡城君) 전섭(全聶)의 후예라고 한다. 이처럼 全씨는 정선을 관향의 대종으로 하는 사실상 단일본의 성씨이다.

현재 우리나라 전(全)씨 전체인구수는 15만 3천 가구에 약 50만여명으로, 성씨별 인구순위는 21위이다. 이들 중 정선이 약 14만명으로 우리나라 본관별 인구순위 57위이고, 천안이 약 13만명으로 59위로서 정선과 천안을 본관으로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나머지 분파의 인구 수는 미미하다.

집성촌으로는 강원도 정선군 일원, 평창군 미탄면 회동리, 경남 합천군 삼가면 두모리, 거창군 마리면 월계리, 경북 칠곡군 칠곡읍 도남동, 경기도 이천군 판교면 명덕리, 황해도 금천군 서천면 홍묘리, 평남 성천군 통선면 하리, 함남 함주군 하조양면 인흥리, 문천군 문천면 교월리 등이다.

울진에 전(全)씨는 모두 221가구에 약 850여명이 살고 있다.

이 중 정선이 약 570명, 용궁이 80여명으로 나머지는 소수로 정선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울진의 성씨 본관별 인구순위는 약 23위이다.

울진군지에는 전(全)씨의 울진입향에 대하여 정선, 용궁, 천안 등 3개의 문중을 다루고 있는데, 정선인들이 가장 빠르고 대다수를 차지하며, 약 6백년 전 최초 울진에 들어 온 사람은 전귀현(全貴賢) 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의 입향연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고, 1420년(세종2년) 입향하여 묘소가 온정면 소태리 녹정동(錄井洞)에 있으며, 자손들은 일부 온정에 남아 있고, 대부분은 대구, 서울, 부산 등지로 흩어져 살고 있다 한다.

그러나 전태석(68세) 前 울진군교육장은 현재 울진의 대다수 정선인들은 전귀현 보다 약 2백년 늦게 들어 온 전진생(全鎭生)의 후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문행이 탁월하여 병조참의의 벼슬을 지낸 그는 1592년(선조25년) 임진왜란을 피난해 진주로부터 울진에 들어 왔으며, 묘소가 북면 고목리 오십곡(五十谷)에 있고, 매년 음력 시월 첫째 일요일 종친들이 모여 제향을 올리고 있다 한다.

정선전씨의 울진군종친회는 약 50여년 전 결성되어 오랜 뿌리를 지니고 있는데, 집성촌으로는 근남면 행곡3리와, 행곡1리 천연동, 평해면 화구, 온정면 잡배 등이라 한다.

전(全)씨는 역사깊은 명문벌족(名門閥族)으로 신라, 고려시대를 통틀어 군(君)에 봉해진 사람이 35명, 정승 12명, 판서 43명을 배출했으며 조선시대에는 문과급제자만 57명을 배출했다.

이러한 전(全)씨 문중에서 특히 고려개국 삼충공(三忠公)인 전이갑(全以甲), 전의갑(全義甲)형제와 전락(全樂)의 3종반의 충절을 빼놓을 수 없다.

 

 

 

후삼국 통일의 야망을 키우던 왕건이 팔공산 오동숲에서 후백제 견훤의 군사와 일대 접전을 벌이다 적에게 포위 당하자, 이들 3종형제는 전이갑을 왕건으로 가장케 하여 적의 주력부대를 유인 왕건을 탈출시키고, 최후까지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하여 왕건으로 하여금 후삼국을 통일 고려개국의 대업을 이루게 하였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서두에 소개되었던 정선아리랑의 작가 전오륜(全五倫)과 고려왕가에 충절을 지킨 고려말 공조판서 전순(全順), 병부상서에 올랐던 전신(全信)등의 인물들이 있다.

그러나 전(全)씨 문중의 인물중에서 한국사에 크나 큰 족적을 남겨 후세 그 이름이 지워지지 않을 인물은 역시 조선말기의 전봉준이다. 녹두장군 전봉준은 이땅에 최초로 자유민주주의의 싹을 틔운 민중혁명의 지도자였다.

전(全)씨 가문의 흥망성쇠의 맥락을 짚어볼 때, 그가 역사의 무대 전면에 등장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닌 듯하다. 그는 삼충공의 한 사람인 전락(全樂)의 후손으로 동학혁명을 일으켜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백성이 나라의 주인>임을 행동으로 일깨웠다.

부패한 지배계급 타파와 척왜척양(斥倭斥洋)을 부르짖어 백성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으며, 항세구국의 기치를 올려 당시로서는 가히 혁명적인 신분상의 차별대우 개선 등 정치개혁요강 12개 조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한반도 점령을 노리고 있던 일제가 동학군의 대대적인 토벌에 나서자, 전봉준(全琫準)장군은 손병희와 함께 22만의 병력을 이끌고 일본군과 대전투를 벌였으나, 신식무기와 조직적인 훈련을 받은 일군에게 패배하고 말았으니…….

이 땅에 자유민주주의의 민중혁명의 지도자 전봉준은 결국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고 말았다.

이러한 동학혁명에서 불붙기 시작한 민중혼은 일제의 암흑기에 이르러 숱한 독립투사를 배출한다.
안창호선생과 신민회를 조직,적극적으로 배일(排日)운동을 벌였던 전덕기( 全德基)와 문화재보호로 애국을 실천한 전형필( 全鎣弼), 그리고 의병장 전덕원(全德元) 등이 그들이다.

현대의 인물로는 황강에서~북악까지의 제5공화국 전두환(全斗煥) 前 대통령. 그도 환성군(歡城君) 전섭(全聶 )의 30세 손이다.

전태도 울진군종친회장은 전(全)씨 문중은 도시조 환성군(歡城君)으로부터 2천년 역사를 통해 충의(忠義)의 명문거족으로 후대들에게 선조들의 불계기공(不計其功: 그 공을 내세우지 않을 것이며), 불모기이(不謀其利: 그 이익을 도모하지 않을 것이며) 등의 종약오대강령(宗約五大綱領)과 종무지표(宗務指標)의 훌륭한 정신을 물려 주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울진군종친회연락처 : 회장 전태도(019-553-6021)

 

                                                 /전병식 편집국장



입력 : 2005년 05월 19일 09:48:00 / 수정 : 2007년 02월 28일 12:19:05

 

저작권자 © 울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