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위 피폭 알미늄 용기 차폐 수조위에 떠 올라

대전시와 정당, 시민단체와 주민들 경각심 고조

환경연합 경보발령지연, 사고 축소·은폐 의혹 제기

경북도가 울진에 ‘제2원자력연구원’을 울진에 유치하려고 나선 상황에서 대전시 대덕연구단지내에 있는 ‘제1원자력연구원’ 연구용 원자로에서 고준위 방사능에 피폭된 실리콘 반도체 생산용 알루미늄 통이 노출돼 난리 법석이 났다.

문제는 어떻게 관리했기에 이런 위험한 사고가 발생했는 가에도 있지만, 규정을 무시하고 약 1시간 30분 동안이나 비상사태 발생을 알리지 않았는 가에 있는데, 관련 지침에는 방사선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상황이 15분 이상 지속되면 비상을 발령토록 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전 원자력연구원 측은 지난 20일 오후 1시 3분쯤 ‘하나로(HANARO)’ 연구시설에서 원자로 수조 내 잠겨있던 알루미늄 통이 수면 위로 떠올라 1시 8분 원자로 가동을 정지하고 2시 32분 ‘방사선 백색비상’을 발령했다고 뒤늦게 공개했다.

7시간 뒤인 오후 9시 33분쯤 문제가 된 알루미늄 통을 수조 아래로 가라앉혀 수조 표면의 방사선 준위를 정상적으로 낮춘 뒤 백색비상을 공식 종료했다는 것이다.

방사능 누출이 심각한 상태에 따라 백색경보, 청색경보, 적색경보를 내린다. 백색경보는 원자로 돔에서 일어나 현장 작업자들의 안전이 우려될 때는 백색경보, 돔 밖으로 새어나와 발전소 내의 근무자들이 위험할 때는 청색, 발전소 경계 밖으로 유출되어 지역주민들의 안전이 우려될 때 적색경보를 내린다.

대전시는 20일 오후 4시경 방사능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인근 주민에 대한 가두방송을 실시하는 등 오후 9시 “시민안전에 이상이 없다.”는 백색경보 해제 때까지 비상사태에 대비했다.

정연호 원자력연구원 원장은 “대전시민을 불안하게 하고 국민들에게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매우 죄송스럽다”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더욱 안전한 연구소로 만들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하재주 연구로이용개발본부장은 “현장 작업자 3명을 우선 대피시킨 후 다른 작업자가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고, 외부에 방사선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백색비상 발령이 늦어졌다고 설명했다.

대전시와 대전지역의 언론과 시민단체, 자유선진당 측에서도 성명서를 내어 강경한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대전시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 23일 개최, 주민설명회, 환경방사능 측정 3월 조기실시 등 긴급대책을 내놓았다.

대전시는 이와 관련 “지난 20일 발생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능 유출사태에 대해 심각성을 인식,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3개 대책을 추진하겠다.”며, “원자력연구원에서 23일 위원 16명이 참여하는 시민협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자유선진당 대전시당은 21일 논평을 통해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 방사능오염 사고를 생각해보라.”며 “이번 사고가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았다고 어물쩍 넘어가거나, 문제의 잠금장치를 손보는 등 사후 수습에만 급급해서는 안 된다.”고 우려했다.

대전·충남녹색연합 측은 21일 성명서를 통해 한국원자력연구원의 하나로 원자로(30㎿)가 1995년 완공된 후 약 15년 동안 크고 작은 사건 사고가 거의 해마다 반복되고, 유형도 비슷하지만 여전히 치유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원자력 방재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야기시켰으며, ‘대전방사선방재지휘센터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대전방사능방재지휘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정확히 세우고 민간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사고에 대해 보다 강도 높은 후속 조치와 교육과학기술부, 원자력안전기술원, 대전방사능방재지휘센터,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에 대한 책임을 묻고, 대전시, 유성구, 북부소방서 등은 사전 예방활동을 즉각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전환경운동연합도 지난 20일 성명을 통해 또 “부지경계 800m에서 측정한 방사선 준위는 0.016 mSv/h 로 알려졌는데, 이 수치는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시망의 경보설정에 대한 기준’에 의한 정상 준위(평균값+100nSv/h 미만) 보다 약 100배가 초과한 양”이다.

“원자력연구원이 밝힌 ‘인근 지역 주민 보호조치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을 크게 축소, 은폐하는 것이 아닌 지 의혹을 사고 있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원자력연구원과 관련 사고가 거의 해매다 되풀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04년 5월 냉각펌프 보수공사 중 중수 501 누출을 시작으로, 2005년 5월 방사성 요오드(1-131) 검출, 2006년 10월 부속시설 화재, 같은해 11월 하나로원자로 작업자 방사능 노출 등이 일어났다.

또, 2007년 5월에는 급기야 우라늄 시료 2,7㎏을 분실했으며, 같은 해 10월 연구원 숙소가 전기합선으로 추정되는 화재, 2008년 1월 연구원 컨테이너박스 화재, 2009년 4월 연구원 연구동에서 화재, 2011년 1월 ㈜한국전력기술 화재 등 크고 작은 사건들이 발생해 왔다.

                                                                           /방남수 서울지사장
 

저작권자 © 울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