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김덕만/ 한국교통대 교수

장하다. 역시 ‘피겨여왕’ 김연아였고 ‘빙속여제’ 이상화였다. ‘홈 텃새’로 은메달에 그쳤지만, 세계 언론은 이구동성으로 깔끔한 세계 최고의 무결점 연기를 보여 준 김연아의 경기력과 배려의 마음씨는 금메달 이상이었다.

거기에 또 박승화․심석희·조해리·김아랑과 이승훈․주형준․김철민 등이 있었다. 메달 색깔이 금이면 어떻고 은이나 동이면 어떠랴. 비인기 종목임에도 4년 후 평창올림픽 메달의 꿈을 키우기 위해 처녀 출전한 어린 선수들의 패기 넘친 모습도 든든하고 대견스러웠다.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대회 2연패를 달성한 이상화는 올림픽 신기록까지 갈아 치워 의미가 더욱 컸다. 조해리·박승희·김아랑·심석희로 구성된 여자 쇼트트랙 대표팀은 3000m 계주에서 8년 만에 정상을 찾았다. 3,000m 계주는 우리 대표팀이 1994년부터 4회 연속 금메달을 딴 종목이다. 2010년 밴쿠버 대회 때는 1등으로 들어오고도 석연찮은 실격 판정으로 메달 획득에 실패한 적이 있어, 이번 금메달 탈환은 더욱 값지다.

4년 뒤 지구촌 선수들은 평창으로 몰려 온다. 우리는 이 평창축제를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 경기장을 건설하고, 선수를 육성하는 등 국민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세계를 행복하게 해 준 연아를 키워낸 나라에 피겨스케이팅을 배울 전용링크 하나 없는 게 우리 현실이다.

대회에 필요한 10여개의 신설 경기장과 선수촌은 막대한 비용을 들여 이제부터 건설에 들어간다. 대회가 끝난 후 이 시설들을 어떻게 활용할 대책도 세워야 한다. 상당수의 올림픽 개최지마다 경기장 운영난에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솔트레이크시티와 노르웨이의 릴리함메르는 스포츠 전지훈련과 각종 대회가 열리는 효자 경기장들이 됐다는 것을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

선수층도 확대해야 한다. 스키종목은 불모지나 다름없다. 그나마 소치에서 컬링과 빙속팀 추월 모굴스키 스켈레톤 종목에서는 가능성을 보았으니, 이 분야를 어떻게 육성할 지도 숙제다.

이번에 남자선수들이 금메달을 하나도 못 딴 가운데, 러시아로 귀화한 안현수 선수가 쇼트트랙에서 금메달을 세 개나 거머쥐자, 그의 귀화 이유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그는 우리에게 금메달을 3개나 안겨줬던 2006년 토리노 올림픽에서 보다 소치 올림픽에서 더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 안현수 귀화문제를 지적했다. 그의 귀화 원인은 파벌주의와 줄서기다. 이는 비단 빙상연맹에 국한된 이야기는 아니다. 세계적인 축구스타 박지성은 외국감독 히딩크가 아니었다면 '볼보이'나 하는 벤치용 선수였을지도 모른다.

평창올림픽은 한국이 진정한 선진국의 모습을 보여줄 절호의 기회다. 경제유발효과 20조원 고용창출 25만명에 이른다. 한국은 월드컵축구 4강에 하계올림픽 7위의 스포츠선진국이다. 드디어 동계올림픽도 10위권이내 최상위권으로 끌어올릴 기회가 다가왔다. 평창 동계 올림픽의 비전인 ‘새로운 지평(New Horizons)’ 을 향해 힘을 모으자.

 

 

 

저작권자 © 울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