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상 (맘파시 칠관운사 지산)

 

ㅡ멸종위기의 나무는 많지만 일일이 나열할 생각이 없으며, 이와 같이 사라져 가는 나무들이 인체에 약이 되나, 독이 되나? 분석해 본다.ㅡ

◆보리장 (밀부리) 나무 ... 산에 소 풀 먹이러 가서 오후면 배고파 따 먹던 나무의 열매가 보리장이다. 곳에 따라 보리수, 밀부리 장떡이라 부르기도 했다.

보리장은 보리수나무의 일종으로서 허기도 채웠지만 물 없는 산등성이에서 갈증도 해소했고, 설사나 배탈에도 효과가 있었고 신경통에도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지금은 멸종 위기로 온 산천을 헤매어도 찾기 어렵게 되었다. 그래서 나는 민속 장을 찾아 보리장 나무를 사다가 친지의 집 마당에 심어두고, 열매를 반씩 나누어 약용으로 하자고 하고 있다.

◆꽤기나무... <깨금도 과실이냐?> 하는 옛말도 있는데, 깨금은 그래도 집단 서식지를 발견하여 기쁨을 만끽하기도 했다. 예전에는 과일 축에도 못 들어가는 깨금이나 꽤기나무도 흔하여 살구와 같이 자주 먹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일부러 찾아다녀도 보기가 어렵다.
꽤기를 <꽤>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꽤기는 왜기와 자두와는 색깔이 별나고 약성 효과 또한 다르다.

꽤기가 집단서식 했던 기억을 더듬어 찾았더니, 그 많던 나무가 사라지고 한 그루가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 노란살구는 주로 거수 노목으로 키 큰 나무에 달려 있는 것을 팔매질하여 떨어진 것을 주워 먹었고, 많이 먹으면 배탈을 면치 못했다.

그러나 빨갛거나 검붉게 익은 꽤기는 아무리 많이 먹어도 배탈이 없는 희한한 열매라고 할아버지는 강조하시면서, 지고는 못가도 얼마든지 먹고는 갈 수 있다면서 오장육부에는 좋은 먹거리라고 하여 옮겨 심었지만 번번이 죽고 말았다.

그런데 이번에 경남 남해안을 여행하면서 김해도 창원에도 마산에도 진해에도 진주에도 꽤기가 있었고, 부산 태종대에서 옛날 꽤기의 맛을 다시 볼 수 있어서 큰 다행으로 생각한다.
꽤기에 얽힌 얘기는 초등학교 4학년 전교 10명중 6명이 토요일 오후 점심이라는 것이 없던 시절 허기진 배를 채우려 꽤기 서리에 나섰던 적이 있다.

보리 밭 골을 따라 쥐 죽은 듯 볼볼 기면서 밭둑에 잘 익어 탐스런 꽤기를 향했다. 나는 혹시나 주인에게 잡힐까 맨 뒤에 들어섰는데 4개째 딸 때였다. 인기척이 나는가 싶더니, “이놈 색끼들!” 하면서 밭둑에 소 꼴 베든 총각주인 낫을 높이 들고 비호처럼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걸음아 날 살려라>하고 넘어지며 자빠지며 뒹굴며 1등으로 달려 숨 돌렸지만, 붙잡힌 한 친구는 여섯 명의 죄 값으로 혼쭐이 나고 말았다. 자세한 일화는 삶의 이야기 나의 자서전 <구름이더이다.> 에 있다.

◆깜바구 (망개나무, 청미래 넝쿨)... 역시 산에 소 먹이러 가서 주로 따 먹던 깜바구를 지금은 보기가 어렵다. 이것은 사라져 가는 것이 아니라, 약초꾼들이 약으로 쓴다고 사정없이 파 감으로 씨를 말리고 있다는 촌로들의 하소연이다.

깜바구의 열매는 간식으로 먹었고, 나뭇잎은 쉽게 변치 않는 찹쌀모찌 덧옷으로 사용되는 망개 잎이고, 뿌리는 우리 몸 안 중금속 세척제로 팔려나가 멸종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약초라는 이름으로 남의 산에 몰래 들어가 굴취하고 훔치므로 멸종의 위기에 봉착했다고 본다. 산주의 동의 없이 남의 산에 무단 입산자는 철저히 응징하는 법질서의 확립이 필요할 때이다.

 

 

저작권자 © 울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