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남매의 맏며느리 ‘사과사세요’ ‘감사세요’
바람처럼 살아온 세월, 산불감시원이 생업수단

 

“소설 ‘바람의 둥지’는 지금 사는 꿀진골에서 눈속에 얼어죽은 이의 허술하기 짝이없는 가매장 장례식을 보고 인간의 죽음과 허무에 대한 상념에서 출발한 창작소설입니다.



” 생명의 신 프로스피나의 키스를 받아 술렁이던 ‘꿀진골’ 산하는 5월의 신록이 한창 조잘거린다. 울진에서 출발 36번 국도를 타고 불영계곡을 지난다.

옥방동네를 지나기 전 다분재를 막 넘어서면, 급커버 중간지점에서 우측 편으로 포장된 소로가 자신을 숨기고 싶은 듯 산 밑에 바짝 붙어 있다.

이 길을 따라 약 2Km 계곡물 흐르는 소리를 놓치지 않고 오르다가 포장길에서 또 우측으로 갈라지는 비포장 농소로 약 200m를 들어가면, 산중에 또 산으로 둘러싼 펑퍼짐한 꽤나 넓은 경사진 밭뙈기가 펼쳐지고, 큰소리로 부르면 들릴까! 너무도 외로워서 눈물이 날 것 같은 풍경의 두 농가가 시야에 들어온다.

이 곳이 서면 쌍전2리 꿀진골이다. 두 집 중에 아래 집은 지은 지 50년 되었다는데, 함석 지붕만 멀쩡하다. 흙 벽은 틈이 벌어지고 일어나 금방이라도 무너져 내릴 것만 같다.

울진군 누옥 대표 감이다. 정말 실없게도 바로 이 집이 허옥선 작가의 둥지다. 이집에 네식구가 산다.

86세의 시어머니와 병든 남편, 3년째 투병중인 딸과 함께. 아들 하나는 자리를 잡지 못해 떠돌며, 겨우 자기 밥벌이를 하고 있다.

본래 문학은 가난하고 고독한 자의 산물일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번개처럼 뇌리를 스친다. 이곳에 사는 아주머니가 소설을 쓰고, 에세이집을 발간했다는 사건은 이미 예정된 인생여정이 아니었을까!

‘바람의 둥지’의 작가 허옥선(56세)씨는 경남 고성군 대가면 출신이다. 상머슴과 애기머슴 을 두고 농사를 짓던 부잣집 1남7녀의 막내 딸로 태어나 부산에서 고등학교를 마치고 경남도청 의무실에서 8년간 근무했다.

인간 세상사 인연은, 지금 살고 있는 꿀진골에서 태어나 영주에서 고추장사꾼이었던 남편 배수환(58세)씨를 처음 만난 곳은, 중앙선 열차 옆자리였다.

10남매의 장남이었던 배수환씨와 만나 첫 살림을 차린 곳은 영주였다. 여기서 남매를 낳고 꿀진골 시집으로 들어와 약 2년간 무, 배추농사를 지었다.

85년경 전기 고압선이 집 위로 지나는데도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불편함에 청와대로 편지를 써 호소를 했다. 관계공무원들은 득달같이 출동하여 바로 그해 쌍전2리 전체 36호 농가에 전기가 들어왔다.

그것은 축복이 아니었다. 동네 사람들은 똑똑한 며느리를 두었다고 빈정대고, 관공서에서도 감히 청와대에다 투서를 하여 공무원들을 긴장시킨 젊은 새댁 식구들을 경계시 했다.

이 때문에 가정불화가 일어나자 허 작가 네식구는 부산으로 떴다. 용호동에서 약 3년간 멍게 행상을 시작했다. 장사를 잘하는 지, 잘되는 지 하루에 2만원이라는 거금의 수입을 올렸다. 그러나 멍게껍질을 많이 하도 빨리 까다보니 손가락이 변형될 정도였다. 그 영광의 흔적을 보여준다. 얼마나 똑순이처럼 일했던 지 소문은 퍼져갔다.

당시 황인용씨가 진행을 맡았던 MBC ‘세상사는 이야기’ 프로는 부산 멍게 행상 허옥선씨를 초대했다. 멍게 빨리 까는 방법을 보여주고, 멍게에 관한 생태와 영양, 보관과 먹는 방법 등에 대해 약 한시간 동안 이야기했다.

이 무렵 약 2년간의 꿀진골 생활 때 얻었던 영감을 모티브로 소설 ‘바람의 둥지’를 썼다. 야간작업이었다. 허 작가는 “ ‘바람의 둥지’는 지금 사는 이곳 꿀진골에서 눈속에 얼어죽은 이의 가매장 장례식을 보고 인간의 죽음과 허무에 대한 상념에서 출발한 창작소설입니다.” 라고 말한다.

이 작품 출간을 계기로 KBS 아침마당에 출연했고, 출판사로부터 원고청탁을 받아 “장사법 따로 없다.”는 에세이집을 써 원고료 3백만원을 받기도 했다.

멍게 행상으로 돈을 꽤 많이 벌어 용호동 사거리에 과일 도·소매 가게를 열어 약 8년간 운영했다. 38평 아파트도 사고, 과일 구입과 배달을 위해 두 대의 트럭도 굴릴 때도 있었다.

그러나 두 아이를 키우면서 시동생들 학비 뒷바라지를 하고, 1년에 한 명씩 시집 장가 보내느라 빚은 점점 불어났다. 거기다가 IMF 오기 직전의 경기 여파로 자금 압박을 받기 시작했다.

96년 모든 재산을 처분하여 부채를 정리하니 남는 게 없었다. 신개발지 강원도 동해시에 새 보금자리를 틀고 또 과일 노점상을 차렸다. ‘사과사세요’ ‘감사세요’ 여기서 약 5년간 두 아이들의 대학비를 벌었다.

그러나 남편의 건강이 악화되어 2001년 지금 사는 꿀진골로 돌아와 또 배추, 무 농사를 다시 시작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불운은 겹치고 겹쳤다.

울진군 의료원에 근무하던 딸마저 쓰러져 3년째 투병중이다. 남편은 결국 지난해 혼수상태에 빠져 서울병원에서 약 4개월 동안 입원한 후 아직도 온전하지 못하다. 두 사람을 간호하느라 농사도 짓기 힘들어 허 작가는 현재 산불감시원으로 일해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남편도 딸도 점차 좋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 딸은 문학적인 재능이 뛰어납니다. 안동대 국문학과를 나왔는데, 부산용호여중 2학년 때 시집 “따뜻한 세상보기”를 출간 큰 호평을 받은 적이 있고, 이후 묵호여고와 대학과정을 통해 여러 번 수상을 한 적이 있는 걸로 압니다.

어떻게 보면 나의 인생은 가혹한 고난의 길이었지만, 지금 현재 나에게 주어진 환경을 사랑합니다.

좌절하고 눈물 흘린다면 뭐가 달라질까요? 내가 누군가를 위해 매우 필요한 존재이며, 그들이 나를 통해 웃음을 잃지 않고 있다는 것에 오히려 만족감을 느낍니다.

지금까지 소설 3천여권 쯤 읽었을 것이라는 허 작가는 자신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면, 또 한편의 소설을 쓰고 싶다는 것. 제목은 정해져 있습니다.

“황금방석”입니다. 첫 번째의 소설 제목이 ‘바람의 둥지’였는데, 현재의 제 인생을 대변하고 있는 것 같아 희망적인 제목을 달고 싶습니다.

                                                                              /전병식 주필

 

저작권자 © 울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