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룡 칼럼>

옛날에 어떤 왕이 있었다. 그는 자신이 과연 백성들에게 선()한 정치를 베풀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감(懷疑感)을 느끼고 있었다. 왕의 초대를 받고 찾아간 현인(賢人)은 그가 충분히 선한 정치를 할 수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왕이 우연히 경험했던 일화(逸話) 떠올리게 한다.

어느 날 왕은 궐 안을 거닐다가 제사에 희생될 소가 끌려가는 것을 보게 되었다. 그 순간 왕은 문득 소가 애처로워 보였다. 불쌍히 여긴 그는 죄 없는 소가 벌벌 떨면서 사지로 가는 것을 차마 못 보겠다며, 소를 다시 외양간으로 돌려보내게 한다.

그러자 제사를 맡은 관리가 묻는다. “제사를 중단할까요?” 그러자 왕은 어찌 제사를 폐하겠는가, 다만 소 대신 양을 사용하라고 했다. 현인(賢人)은 백성들로부터 들은 그 얘기를 통해서 왕께서 충분히 선정을 베풀 수 있다고 판단한다. 이 이야기의 현인은 맹자(孟子). 맹자는 양혜왕(梁惠王)이 제물로 끌려가는 소를 보는 순간, 비록 소가 짐승에 불과하지만, ‘차마방관할 수 없는 측은지심(惻隱之心)이 발동한 것은 그의 내면에서 인자한 성품이 드러난 것이라고 했다. (양혜왕 )

맹자는 측은지심에 대한 좀 더 일반적인 예를 들기도 했다. “어린아이가 아장아장 걷다가 우물 쪽으로 걸어가는 것을 보았을 때, 누구나 깜짝 놀라 그 아이를 붙들려고 달려든다. (공손추 )” 이러한 반응은 그 사람이 아이의 부모와 교분이 있어서도 아니고, 누구에게 칭찬을 받기 위해서도 아니다. 아이가 떨어지도록 내버려두면 사람들로부터 비난받을까 두려워서도 아니다. 그때 행위는 결코 계산에 의한 아니며, 인간이라면 누구나 반응하지 않을 수 없는 즉각적 자연발생 현상이다. 개인의 경험 이전에 누구나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이 선험적(先驗的; a priori) 선한 반응을 통해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하다고 결론짓는다. 맹자는 (자신도 모르게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선한 반응을) 사람은 누구나 가지고 있어서(人皆有所) 참지 못한다(不忍)고 했다.

한편, 우리는 맹자의 참지 못한다(不忍)’차마 할 수가 없다로 체화(體化)하며 살아왔다. ‘차마참다라는 동사에서 비롯된 단어라고 짐작하는데 정확한 어원은 알 수 없지만, 우리에게 차마는 체화된 양심의 불꽃같은 말이다. 그래서 다른 나라 말로 번역할 때, 마땅히 상응하는 단어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우리의 고유 정서를 담고 있는 단어다. 한자어 불인(不忍)’을 우리는 차마 할 수가 없다로 번역하지만, ‘不忍차마를 그대로 담아내지 못한다. 그것은 우리의 일상 속에 차마가 녹아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측은지심의 不忍은 철학적 성격을 지닌 반면 우리의 차마는 현실적이다. “도리 상 차마 그냥 보고 있을 수가 없더라” “정 때문에 차마 뿌리치지 못했다하는 식이다.

근래 우리는 차마 그냥 지켜볼 수 없는 장면들이 몇몇 있었다. 입양된 아이가 입양부모의 모진 학대와 구타에 췌장이 끊어져 태어난 지 16개월 만에 죽은 사건, 자신이 낳은 아이를 딸이 낳은 아기와 바꿔치기 하고도 끝까지 부정하는 어머니, 딸이 굶어죽도록 빈집에 버려두고 다른 남자와 결혼하기 위해 떠난 엄마…… 인터넷에 떠도는 그 아기들 사진을 볼 때, 우리는 비록 사진이라도 그 아이와 시선을 똑바로 마주치지 못한다. 우리 마음속에서 모종의 죄의식이 충동적으로 일어나 괴롭기 때문이다. 미안하고 마음이 아파 차마 얼굴을 똑바로 볼 수 없는 것이다. ‘차마가 적용되는 순간에는 더 이상 상황이 진행하지 못하도록 마음이 괴롭히는 까닭이다.

기적과 같은 고도성장을 이룬 우리는 경제적으로는 얻은 것이 참 많다. 하지만 경제에 올인(all in)하는 동안 잃은 것도 많다. 최근 한 조사에 의하면 청소년 6명 중 1명 꼴로 "나는 10억원을 벌 수 있다면, 감옥에서 10년을 살아도 부정을 저지를 수 있다."는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했다. 어쩌면 우리는 경제보다 훨씬 소중한 차마를 잃고 있는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울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