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고/ 강성철 전.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장

 

최근 10(2012~2021)간 산사태로 총 2,603ha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고, 월별로는 8(1,271ha, 48.8%)9(644ha, 24.7%)에 주로 발생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영남(912ha, 35%)과 중부지역(677ha, 26%)에 피해가 집중되었다.

 

또한 기후변화로 ’19년 가을장마, ‘20년 역대 최장기간 장마, ’21년 지역별 강우 편차 등으로 산사태 피해 시기와 지역 예측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금년도는 집중호우와 태풍의 수가 증가하고, 장마기간이 늘어나는 등 산사태 예방에 취약한 기후환경으로 변화고 있다는 예측이다.

 

특히, 봄철 대형 산불 피해지역은 식생이 없어 표토가 그대로 노출된다. 뿐만 아니라 재가 토양공극을 감소시켜 물빠짐이 잘 안됨으로서 토사유출과 토층침식이 우려된다. 산불피해지역의 급경사지에는 붕괴 위험도 증가된다. 2018년에 국가재난안전연구원에서 산불발생 전·후의 사면 안정성을 해석한 결과, 산불로 인한 안정율이 약 20%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후유증 중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산사태라는 사실이다. 그 실례로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지인 강릉시 사천에서, 2002년 태풍 루사에 의한 큰 피해를 입었다. 또다시 이러한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대형 산불이 발생하였던 울진 산불 피해지에 대해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인가 및 생활권의 수계 중심으로 여름철 우기 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철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막아야 할 것이다.

 

산사태 발생 시는 전문가로 구성된 산사태원인조사단을 투입시켜 산사태 피해현황 및 발생원인 조사·분석, 피해지 복구방안 등 신속·정확한 원인조사와 견실한 응급복구를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산불현장에서 탄 산불 재 등 잔재물이 계곡을 따라 하천과 바다로 유입되어 해양생태계 파괴로 이어지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도 병행돼야 한다.

 

산사태로부터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기 전 산사태취약지역 중심으로 사방댐 및 계류보전사업 등 재해예방 시설과 산사태주의보 및 경보 예측정보를 24시간 전에 제공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신속한 주민대피의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도화해서, 국민이 안심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국가는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강성철 전)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장/ ) ·수해분야 방재전문가

 

저작권자 © 울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