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정조 16년(1792) 봄에 이런 일이 있었다. 창덕궁 주실(主室)인 희정당(熙政堂)에서 술자리가 벌어졌다. 그날 성균관에서 임금의 특명으로 치러진 시험[應製]에 합격한 유생들을 불러놓고, 임금이 직접 술과 음식을 하사하여 함께 즐기는 자리였다. 임금이 먼저 유생들에게 엄포를 놓았다.

  “옛날부터 그런 말이 있잖은가. 술 취했을 때 그 사람의 평소 소양이 보인다고. 오늘 그대들은 만취하지 않으면 집에 못 간다는 것을 각오하고 양껏 마시도록 하라, 제학 서영보(徐榮輔)와 이만수(李晩秀)는 이들이 술잔을 정확히 돌리는지 감독하라” 그리하여 술잔이 몇 순배 돌고나서 술에 취한 유생들이 여기저기 쓰러지는데, 이만수가 임금께 아뢰었다. “오태증(吳泰曾)은 고(故) 대제학 오도일(吳道一)의 후손으로, 집안 대대로 술을 잘 마십니다. 지금도 이미 다섯 잔이나 마셨는데 멀쩡합니다.” 그 말에 임금이 명했다. “오태증이 제 고조부를 생각한다면 어찌 감히 어주(御酒)를 사양하겠는가. 다시 큰 잔으로 다섯 순배를 먹이도록 하라”


  정조의 할아버지 영조 때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그날도 희정당에서 야대(夜對)를 열고 임금과 젊은 관료들의 술자리가 있었다. 당상관 윤득화(尹得和)는 술을 못 마시기에 감독을 맡기고 영조는 술잔을 돌리게 했다. 서명신(徐命臣)과 오수채(吳遂采)는 처음에는 술을 잘 못 먹는다며 사양하다가 거푸 넉 잔을 받아마셨다. 술이 약간 취한 서명신이 임금께 아뢰었다. “주상전하, 사실 오수채는 대대로 술을 잘 마십니다. 숙직[入番]할 때마다 그의 손에서 술잔이 떠난 적이 없사옵니다. 고 대제학 오도일의 아들이옵니다” 어전에서 지나친 술주정이라 판단한 윤득화는 급히 두 사람을 제지하고, 임금께 이들을 벌줄 것을 아뢰었다. 이에 영조임금이 말했다. “그래? 오수채에게 큰 잔으로 술 석 잔을 더 먹이도록 하라”


  울진군 근남면 구미(龜尾) 마을에는 역사유적지 주천대(酒泉臺)가 있다. 원래는 큰물이 산허리를 뚫었다 하여 수천대(水穿臺)라고 하던 것을 인조 대 울진에 머물렀던 임유후(任有後)가 풍광이 아름다워 술을 당기게 한다하여 주천대로 고쳤다는 곳이다. 지금 주천대 앞에는 김시습(金時習)과 임유후 그리고 오도일을 기리는 유허비가 서 있다. 김시습과 임유후 선생은 울진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오도일은 그 이름이 매우 생소하다. 그러나 벼슬로 치면 오도일은 앞에 두 사람보다 한참 높은 대제학에 이르렀으며, 사후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으로 추증된 분이다. 울진현령 출신 가운데 현직에서 가장 유명했고, 문장도 뛰어나 동인(東人) 삼학사(三學士)로 불렸다.


  오도일의 울진현감 부임은 사실 유배형에 가깝다. 현종 14년(1673)에 급제하여 요직을 거치며 숙종 6년(1680) 스물두 살에 이조좌랑이 되기까지 그침이 없었다. 경신환국 이후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릴 때 소론 편에 섰다가 정권의 핵심 김석주(金錫胄)로부터 미움을 받아 울진현령으로 좌천된 것이다. 원래는 평해군수로 임명되었으나 당시 군수로 있던 민취로(閔就魯)와 상피(相避)된다하여 울진현령으로 급이 더 낮아졌다. 훗날 강원도 관찰사(觀察使; 도시사)로 부임했으니 그에게 평해군수 낙마는 우스개가 되었다. 아무튼 ‘대대로 술꾼 집안’이라는 명예(?)를 남긴 분이 울진현령이 되어 술천[酒泉臺]에 납셨으니 보나마나 어떤 장면이 펼쳐졌을지 짐작이 간다.


  오도일의 ‘술꾼’이란 별명은 영조의 아버지 숙종 때 만들어졌다. 숙종 23년(1697) 봄 가뭄이 심해서 임금이 직접 사직단(社稷壇)에 기우제를 지내게 되었다. 오도일이 술잔을 올리는 작주관에 임명되었다. 큰 잔에다 술을 받아 계단을 걸어올라 제단에 술잔을 바치는 중요한 역할이다. 관절통을 앓던 그는 하필 전날 밤에 무릎에 쑥뜸을 했다. 뜸질이 심했던지 옷깃이 스쳐도 쓰라릴 정도였다. 그 와중에 술잔을 전달하는 도승지의 무릎이 오도일의 상처를 건들고 말았다. 스텝이 꼬여버린 오도일은 그만 술잔을 엎어버렸다. 기우제 작주관이 신주(神酒)를 엎지르는 대형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평소에 술꾼이란 소문이 자자했던 터라 사람들은 오도일이 술이 취해서 실수 한 줄 알았다. 곧바로 탄핵되었고 오도일은 자신에게 금주령(禁酒令)을 내렸다. 3년 뒤 숙종이 어주를 하사하니 비로소 금주령을 풀고 다시 마셨다.
 

 

 

저작권자 © 울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