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춘호 교수의 지식창고 ....13회

 

도춘호, 울진문인협회 고문, choondo@scnu.ac.kr
도춘호, 울진문인협회 고문, choondo@scnu.ac.kr

대한민국 정부 수립 75주년이 되는 해를 맞이해서 우리나라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이승만 박사는 1919년 9월 11일 중국 상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대통령 그리고 1948년 8월 15일 수립된 대한민국의 초대-3대 대통령직을 맡았다.

유엔 결의에 따라 1948년 5월 10일 총선거가 실시되고 5월 31일 제헌국회가 열리고 8월 15일 대한민국을 수립되었다.

36년간 일제가 억압하며 태평양전쟁을 위해 착취하고 파괴해서 남은 것이 거의 없는 땅에서 새로운 희망으로 국가 건설을 시작하는 중요한 시기에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 3년간의 육이오전쟁은 남한 전역을 조금 남은 것 마저 파괴해서 폐허로 만들었다.

이 폐허에서 대한민국 초대 이승만 정부는 무엇부터 어떻게 무슨 방법으로 국가를 재건하고 국민들이 하루하루를 자유롭고 안전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해야 하는가 고심했을 것이다.                     

여기서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 중 육이오 전쟁 후 우리나라 산업발전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조금이나마 소개하고자 한다.

이승만 정부는 전쟁 참화로부터 회복하는 부흥계획을 세우고, 외교 활동으로 운크라로 알려진 유엔한국재건단(UNKRA), 유엔한국민간원조사령부 (UNCACK), 미군대한원조(AFAK), 미국원조기관(ECA, FOA, ICA, AID 등 명칭 변경), 미국잉여농산물 원조, 그리고 많은 국제 기관 및 민간 단체들이 우리나라 전쟁 복구를 위해 원조했다.

식량과 생필품 등 소비재와 원자재 원조로 사회가 조금씩 안정되면서 이승만 정부는 1953년부터 농사에 필요한 비료, 주택 및 건설에 필요한 시멘트, 판유리, 철강재 생산을 위한 공장을 먼저 세울 계획을 유엔한국재건단과 협의해서 정했다. (안동혁 상공부 장관 회고록). 

전기 - 1945년 해방 당시 남한은 전국 발전 설비의 11.5%에 불과했고 필요한 전기의 60% 정도는 북한에서 왔다. 1948년 5월 14일 북한의 일방적 단전으로 남한은 전기 부족으로 일상 생활과 산업설비 가동이 지장받았다.

정부와 미군정 당국은 당인리발전 등 노후 설비를 긴급 보수하고, 1950년말부터 발전함 자코나 호 등 8척을 부산, 인천, 마산, 목포, 장승포 항구에 도입했다. 미국 원조로 1956년부터 당인리화력 3호기, 마산화력과 삼척화력발전소가 전기 생산을 시작했다. 

사진 1. 이승만 대통령(왼쪽)의 문경시멘트공장 준공 점화식(1957. 9. 26).
사진 1. 이승만 대통령(왼쪽)의 문경시멘트공장 준공 점화식(1957. 9. 26).

  문경시멘트공장 - 1957년 9월 경북 문경에 연산 20만톤 규모로 국내 최초의 현대식 공장으로 준공되었다. 시멘트 공급이 원활하게 되고 국내 토목, 건축 등이 활기를 띄게 되었다. 춘천댐도 문경시멘트로 완공되었다 (남기동 당시 운크라 건설위원장 회고록).

충주비료공장 - 1954년 충주에 요소비료 공장을 세우기로 하고 1955년 10월 22일 착공했다. 1958년 2월 준공예정이었으나 3년 4개월 늦은 1961년 4월 29일 윤보선 대통령과 장면 총리가 준공식에 참석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식 화학공장으로 여기서 일한 분들이 나중 중화학 공업의 지도자들이 되었다.

인천판유리공장 - 1956년 2월 14일 인천 만석동에서 기공식을 열었고 1957년 9월 30일 준공했다. 병유리 제조와는 차원이 다른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식 판유리공장이었다.

인천제철- 대한중공업공사 – 이승만 대통령은 1953년 4월 대한중공업공사에 철강소재의 공급을 위해 제강시설 설비를 지시했다. 인천 송현동에 설비가 미비한 제철공장을 활용했다.

원자력연구소 – 이승만 대통령은 원자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59년 3월 서울 홍릉에 원자력연구소를 설립하고 7월 트리가 마크-2 연구용 원자로 기공식을 가졌다. 여기서 원자력 관련 인재들이 양성되기 시작했고 원자력발전 기술 연구가 시작되었다.

저작권자 © 울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